‘트럼프 리스크’ 피해 유럽으로 향하는 한국 배터리 기업들
2025년, 미국의 관세 리스크 속에서 K-배터리 기업들이 유럽에서 어떤 생존 전략을 펴고 있을까요?
목차
1. 서론: 왜 유럽인가?
2. 본론
1) 미국발 관세 압박과 한국 배터리 업계의 위기
2) 유럽 시장에서의 기회와 투자 전략
3) 주요 기업별 유럽 진출 현황
3. 결론: 관세 리스크 시대, 유럽에서의 생존 전략
4. 부록: 유럽 내 배터리 시장 점유율 변화 (2023 기준)
1. 서론: 왜 유럽인가?
최근 미국의 상호관세 정책으로 인해 국내 배터리 기업들이 새로운 돌파구를 찾고 있습니다. 국내 배터리업계는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로 인해 단기적인악영향에 직면한 반틈 관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 불확실한 북미 시장을 대신할 대안으로 유럽이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배터리 업계는 단순한 생산기지 이전이 아니라, 유럽 내에서의 고객사 확보와 생산 설비 확장을 통해 시장 주도권을 확보하려는 전략을 추진 중입니다.
2. 본론
1) 미국발 관세 압박과 한국 배터리 업계의 위기
트럼프 전 대통령은 외국산 배터리 및 배터리 소재에 고율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을 제기했고, 이에 따라 LG에너지솔루션, 삼성 SDI, SK온 등은 미국 내 수익성이 크게 흔들릴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2) 유럽 시장에서의 기회와 투자 전략
유럽은 전기차 전환 정책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지역으로, 배터리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시장입니다.
전략 | 설명 |
---|---|
유럽 현지 공장 증설 | 관세 회피 및 물류 효율화 |
LFP 배터리 투자 | 중국 제품과의 가격 경쟁력 확보 |
ESS 전환 | 전기차 수요 둔화에 대한 대응책 |
완성차 업체와의 제휴 | 안정적 수요 기반 확보 |
3) 주요 기업별 유럽 진출 현황
✔ 삼성SDI
- 헝가리 괴드 공장에 약 6,413억 원 투자
- 각형 및 LFP 배터리 양산 체제 구축
- LFP 수주 계약 확보 중
✔ LG에너지설루션
- 르노(39 GWh), 포드(109 GWh)와 공급 계약
- 폴란드 브로츠와프 공장 ESS 생산 전환
- 폴란드 국영전력공사와 대형 ESS 프로젝트 협업
✔ SK온
- 헝가리 이반차 공장 생산능력 10 GWh 확대
- 3개월 만에 수율 90% 달성
- 메르세데스벤츠, 폭스바겐 등과 협력
3. 결론: 관세 리스크 시대, 유럽에서의 생존 전략
현재 한국 배터리 업계는 북미의 정치적 불확실성과 관세 리스크에 직면해 있으며, 이를 타개하기 위한 시장 다변화 전략의 핵심이 유럽입니다.
연관글 모음
🔗 미국 상호관세 정책과 한국에 미치는 영향
→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가 한국 경제와 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글입니다.
🔗 34% 관세 전면전! 세계 경제 흔든 희토류 수출 통제
→ 글로벌 무역 갈등 속에서 희토류 수출 통제가 세계 경제에 미친 영향을 다룹니다.
🔗 카자흐스탄 희토류 매장지 발견! 세계 3위 매장량과 산업적 의미 총정리
→ 카자흐스탄의 희토류 매장지 발견이 배터리 산업과 글로벌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합니다.
4. 부록: 유럽 내 배터리 시장 점유율 변화 (2023년->2025년 1월 기준)
2023년 유럽 배터리 시장 점유율
🟡한국 3사: 45.1%
🟠중국 업체: 49.7%
2025년 유럽 배터리 시장 점유율
🔵한국 3사: 38.7%
🔴 중국 업체: 61.3%
국내 기업들은 점유율 회복을 위해 LFP 및 ESS 중심의 기술 및 생산 경쟁력을 강화해야 합니다.
'투자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기대선 테마주 급등! 정치 테마주 투자, 지금 들어가도 될까?” (53) | 2025.04.07 |
---|---|
비트코인 가격 하락, 미국 관세 정책 때문? 가상자산 시장 흔들린 이유 (52) | 2025.04.07 |
MZ세대 부자 트렌드: 자수성가 70%, 주식·해외투자에 집중하는 이유 (47) | 2025.04.06 |
“공포장에도 ‘따박따박’ 수익? 지금 주목할 미국·국내 고배당주 TOP 5” (26) | 2025.04.06 |
34% 관세 전면전! 세계경제 흔든 희토류 수출 통제 (38) | 2025.04.05 |